환경

자연을 생각하는 친환경 경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

scrolldown

친환경 경영체계

미래세대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삶을 선물합니다.

환경경영 전략

기후변화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을 낮추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국내외 환경경영 조직프로세스정비했습니다.

  • 비전

    친환경 Green Factory 실현

  • 목표

    2050 탄소중립 및 환경오염물질 저감

  • 전략

    미래세대의 안전하고 쾌적한 삶의 질 향상에 최고의 가치를 위한
    지속 가능한 친환경 Green Factory 실현

  • 실행계획

    • 녹색경영 시스템 구축
      • 녹색기업 지정
      • 국제 인증 규격
      • 지속가능 보고서
      • 시스템 검증
      • 친환경제품 개발
    • 환경오염물질
      • 환경오염물질 총량 감소
      • 온실가스 감축
      • 폐기물 재활용 증대
      • 에너지 절감
    • 그린 파트너쉽
      • 협력사 지원
      • 지역 환경보전
      • 단체 협력 지원

환경경영 조직

효과적인 환경경영을 위해
전사 안전환경 회의체를 마련했으며,
정기 회의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환경 관련 이슈를
해결합니다.

환경경영 조직체계

*이사회 이하 회의체
  • 최고 의사결정 기구 CSO (Chief Safety Officer)
  • 전사 안전환경회의체 의장 Korea ER Center 센터장
  • 전담조직 환경안전팀

환경경영시스템 인증현황

인증사업장
  • 평택
  • 원주
  • 익산
보유 인증서
  • ISO 14001
  • 녹색기업 인증

환경경영 활동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조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이를 측정하고
분석해 관리합니다.

  • 01. 용수 사용량 절감

    매년 수자원 절감과 수질환경 보호에 동참하고자 사업장별 용수 절감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또한 상수도 메인 공급 압력을 조정하고, 주요 시설의 수압을 조절해 용수 낭비를 줄이고 있으며, 용수 공급업체의 공급량을 관찰하면서 용수 취수량과 배출량도 관리하고 있습니다.

    용수 사용량 절감
  • 02. 수질오염물질 관리

    제품 생산과정에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수질 환경보전법과 기타 관계법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준수해 적정하게 오염물질을 처리합니다. 제품 생산과정에 배출되는 방류수는 전량 수처리 시설로 안전하게 처리하며, 사업장 내 처리 시설을 이용해 방류할 경우 법적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수질오염물질 관리
  • 03. 대기오염물질 관리

    대기관리지침서에 따라 법적 자가측정 기준을 준수하면서 제품 생산과정 또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파악하고 대기 환경을 적정하게 관리, 보전하려고 노력합니다. 연간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기록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 저감을 목표로 포름알데히드, 불소, 페놀 화합물을 월 2회, 먼지, NOx, SOx, THC를 반기 1회 측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관리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기후변화 전략과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부터 대응, 개선까지
4단계로 관리합니다.
그 결과는 경영전략에 반영하고 구체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1. 기후변화 리스크를
    분석합니다.
  2. 대응방안을
    검토합니다.
  3. 리스크를 관리하고
    대응합니다.
  4. 리스크 대응성과를 모니터링하며
    개선해 나갑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온실가스 배출 원인을 먼저 분석
배출량을 관리하고,중장기 계획으로
전략을 세분화목표를 달성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 단위 : tCO2-eq

  • Scope 2 : 간접배출
  • Scope 1 : 직접배출
  1. 2019년
    • 전체배출: 103,542
    • 간접배출: 95,631
    • 직접배출: 7,911
  2. 2020년
    • 전체배출: 78,569
    • 간접배출: 72,061
    • 직접배출: 6,508
  3. 2021년
    • 전체배출: 70,738
    • 간접배출: 64,290
    • 직접배출: 6,448

온실가스 배출목표

* 단위 : tCO2-eq

  1. 2022년: 30% 감축(86,481)
  2. 2040년: 50% 감축(61,772)
  3.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자원순환

미래를 생각하며
자원의 선순환을 이뤄냅니다.

신재생에너지 확산

전력원 현황을 파악국내외 네트워크
신재생에너지확대하고
한국, 중국, 폴란드대상으로 2024년까지 순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도입할 예정입니다.

에너지 관리

총 전력량 대비
재생에너지 비율

* 2021년 기준

7% (348GWh)

자원화 방안 관리

폐기물 처리 방법 개선으로 철저하게
부산물관리자원 순환율높이고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유독물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폐기물 관리

  1. 작년과 비교해 연간 관리 계획을
    수립합니다.
  2. 처리방식에 따라 폐기물을
    분리해 보관합니다.
  3. 폐기물을 운반하고 처리를
    의뢰합니다.
  4. 폐기물을 처리하고
    실적을 보고합니다.
  5. 위탁업체에 처리 여부를
    확인합니다.
  6. 폐기물 내역을 기록해
    관리합니다.

유해화학물질 관리

  1. 사업안전보건법과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을 준수합니다.
  2. 1년에 한 번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작업자는
    특수검진을 받습니다.
  3. 유해화학물질관리 지침서를 마련해
    사고를 예방합니다.
  4. 안전교육을 실시합니다.
  5. 화학물질 자체점검대장을 작성합니다.
  6. 물질안전 보건자료(MSDS)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