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HL Mando는 사람이 먼저인,
우리 모두가 안전한 더 나은 세상을
만듭니다.

scrolldown

인권 경영

서로 존중하며 모두 함께
성장합니다.

인권 정책

HL Mando는 2021년 4월,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이니셔티브
‘유엔글로벌콤팩트’에 가입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4개
영역의 10대 원칙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아울러 세계인권선언(UDHR), UN 기업, 인권이행원칙(UNGPs)과 국제노동기구현장(ILO)이 권고하고 국가가 비준하는
모든 노동 원칙을 준수합니다.

또한, 취업규칙 3장에 모성보호, 직장 내 괴롭힘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반영하고, 다양한 배경과 가치를 존중하면서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인권 경영 원칙

  • 인권존중
  • 차별금지
  • 강제노동 및
    아동노동 금지
  •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 근로조건 및
    노동법규 준수
  • 지역사회에
    대한 인권
  • 환경권 보장
  • 이해관계자의
    정보보호
  • 보건 및 안전

인권 경영 체계

국내 인권정책기본법, EU 인권실사 의무화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인권 보호존중에 대한
요구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HL Mando인권 경영 선언문 공표
시작으로 인권 경영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룹의 인권 경영 위원회를 중심으로 HL Mando는 지속가능경영 위원회와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인권 경영 가이드라인을 수립했습니다.
또한, 인권 경영 고도화를 위해 국내외 만도 법인에서는 인권 담당자를 선정하고 주요 인권지표를 도입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사업장 인권영향평가와 국내외 전 사업장 고충처리 채널 효과성 평가를 진행해 글로벌 수준으로 인권 경영 체계를 고도화했습니다.

인권영향평가 10개 분야

  • 인권경영
    체제의 구축
  • 소비자보호
    및 임직원
    정보보호
  • 고용상의
    비차별
  •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보장
  • 강제노동의
    금지
  • 환경권 보장
  •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 이해관계자
    인권보호
  • 산업안전
    보장
  • 아동노동의
    금지

인권 리스크 관리

인권 침해 고발이 접수되면 HL Mando는 그룹 법무팀과 처리 절차에 의거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징계위원회를 개최해 징계양형을 결정하고
시행합니다. 조사 과정에서는 제보자와 피해자 신변 노출이나 인사상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 절차와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HL Mando는 인권 경영에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모든 사안에 대해 근로자가 인권 고충을 제보할 수 있도록 고충처리 채널을 운영합니다.
제보자나 피해자는 신분이 보장된 가운데 온라인 시스템 신고, 담당자 이메일, 전화, 면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충을 접수하고,
처리결과는 신고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 그 외 기타
    윤리 문제

안전 경영

체계적인 계획과 프로그램으로
안전보건을 관리합니다.

안전 경영 방침

HL Mando는 새로운 안전보건 요구사항과 적법한 조치,
예방활동 강화 대책을 수립하고, 안전환경 경영방침을
개정했습니다.

또한, 안전환경 경영시스템을 주기적으로 검토·개선하고,
관계 법규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한 수준 높은
자체 기준을 설정해 운영합니다.

안전보건 경영 체계

HL Mando는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 구축’이라는
비전 아래 무재해, 무화재, 무사고(3無)
달성을 목표로 전사 안전보건 관리체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핵심관리지표인 종합재해지수를 2020년 대비 50% 감소시키고자 합니다.

기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내 인증이 KOSHA 18001에서 KOSHA-MS로 전환되어 그에 맞춰 시스템을 변경하고,
국제 ISO 45001 인증으로 국내외 사업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종합재해지수를 핵심성과지표(KPI)로 채택하고 사업장별 재해 발생 빈도와 강도를 관리하면서
안전환경 문화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 비전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 구축

  • 슬로건

    무재해, 무화재, 무사고(3無) 달성

  • 목표

    종합재해지수
    2025년 종합재해지수 0.22 달성
    2020년 종합재해지수 0.4 대비 50% 감소

실행이념 & 핵심가치

  • 원칙성

    Work Principle

    법과 원칙에 따라
    판단하고 실행한다.

  • 역동성

    Work Smart

    전문성을 기초로
    역동적으로 움직인다.

  • 일관성

    Work Together

    배려와 소통으로
    신뢰하고 협력한다.

안전보건 리스크 관리

HL Mando는 글로벌 수준으로
안전보건 경영을 구현하고자
사업장별 안전보건 위험성 평가 지침에 따라
정기적인 평가시행합니다.

위험도에 따라 고위험 작업을 분류하고, 위험한 작업은 대책을 마련해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치 후에도 위험성을 재평가해 위험성 감소 여부를
지속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위험성 평가 절차 및 기준

  1. 작업공정 분석과 자료수집
  2. 유해 · 위험 요인 파악
  3. 위험성 추정
  4. 위험성 결정
  5. 위험성 감소 계획수립과 실행

안전보건 사고 조치 프로세스

HL Mando는 근로자가 위험한
작업환경에 처했을 때,
노동조합체결단체협약 제90조
‘작업의 중지’의거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하는근로자 보호 조치를 보장합니다.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신고하고 정확한 조사와 보고, 개선을 위해 ‘ISO 45001 재해조사 및 보고 지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 산업재해 등 사고 유형별로 조치 요령을 제시하며, 재해가 발생할 경우 즉시 경영층에게 보고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 후에는 재해 재발 방지 계획과 사고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대책을 마련해 동종 재해를 예방하고, 재해 확대를 방지합니다.

비상사태 발생 시 조치요령

  1. 전파 / 신고
  2. 초기 조치
  3. 확신 방지
  4. 수습 / 종결

임직원

임직원과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인재육성

한라인재개발원‘ACTIVE Learning Experience
Coordinator for Growth’
목표
HL Mando포함한라그룹 인재 육성
힘쓰고 있습니다.

임직원들이 한라 정신(Halla spirit)을 이해하고 뛰어난 전문가(First Class)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핵심인재 교육, 직무 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 학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재육성 정책

  • Halla Spirit
    HL Spirit
    HL정신을 기반으로 임직원에게
    성취감과 자부심, 에너지를 제공한다.
  • Organizational Growth
    Organizational Growth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미래전략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을 양성한다.
  • Individual Growth
    Individual Growth
    First Class를 지향하는 탁월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육성한다.

인재육성 전략

목표

Active Learning Experience Coordinator for Growth

  • 핵심인재·조직육성

    ‘미래로’를 준비를 위한
    핵심인재 육성과 지속적인 학습 지원,
    사업전략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에게 체계적인 지원

    • #핵심인재
    • #미래로
    • #리더십
  • 직무 전문성 향상

    ‘제대로’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직무역량 배양,
    사업 추진에서 핵심이 되는
    직무 전문가 육성

    • #전문성
    • #제대로
    • #직무역량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성과에 실질적 기여

그 밖에 인재육성을 관한 것들

  • Future Leader 육성

    HL인재개발원은 HL Mando를 비롯해 HL그룹을 이끌어 나갈
    차세대 리더 후보군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조직 차원에서 성과를 창출하고 향후 비즈니스를 이끌어 갈 잠재력을
    가진 젊은 인재를 ‘Future Leader’로 정의해 선발된 인원에게는 경력과
    상황, 조직 특성 등을 고려해 분기별 1회 커리어 코칭과 리더로서
    조직의 육성과 성과 창출을 돕기 위한 리더십 코칭을 병행합니다.

    Future Leader 육성
  • 소프트웨어 핵심역량 강화

    HL Mando는 자동차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업에 맞춘
    실습환경을 만들어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고 테스트 중심으로 기초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SW 핵심기술 과정’을 운영해 글로벌 고객사가 요구하는
    A-SPICE 인증에 대응하고 소프트웨어 통합 및 최적화를 위한
    아키텍처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SW 아키텍처 설계
    과정(기본/설계)’으로 SW 직무 내 전문가 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핵심역량 강화
  • 정년 퇴직자 생애설계과정 운영

    HL Mando는 정년퇴직을 앞둔 직원들이 퇴직 이후 생애를 스스로
    점검하고 설계해 막연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생애설계과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생애설계과정에서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거시적 변화
    흐름을 바탕으로 생애설계의 의미와 생애 영역별 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퇴직 이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건강, 여가, 자아 정립, 관계,
    자산관리, 중·장년 진로 설계, 정부 지원 정책 등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정년 퇴직자 생애설계과정 운영

조직문화

자율과 책임이 있는 근무문화

HL Mando는 근무제도를 다양하게 운영해 주 40시간 근무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하고 있습니다.
업무량에 따라 개인 근무시간을 월 단위로 관리하는 유연근무 제도를 시행해 업무시간에는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그 외 시간에는 여가 활동과 자기 계발 등으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COVID-19 상황으로 재택근무 제도를 임시로 시행해 쾌적한 근무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 근무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10분 단위로 선택해 근무
  • 매월 근태 결과에 따라
    연장근로수당 지급
  • 22시 이후 원칙적으로
    야간근무 금지
  • 21시 이후에 퇴근하면
    12시간 이후 출근하는
    최소 휴직 보장제 운영

출산 휴가와 육아 지원

HL Mando는 구성원들이 출산과 육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출산·육아 휴직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출산휴가와 가족 돌봄 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합니다.
또한, 어린 자녀를 둔 구성원들이 안심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전한 보육 환경과 특화된 사내 어린이집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사내 어린이집 프로그램

영유아가 자발적으로 선택,주도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외부 전문기관에서 놀이 중심 프로그램을 연령별 발달
수준에 맞게 제공합니다.

미래세대 핵심 역량인 3C(Critical thinking(사고력),
Cleativity(창의력), Collaboration(협력))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영유아에게 다양한 경험과
즐거운 학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복리후생

HL Mando 복리후생 제도는 인간존중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임직원 모두가 일하는 보람을 느끼고, 안정적인 생활하며, 나아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복리후생 제도는 크게 시설 지원, 생활 지원, 건강·문화생활 지원으로 운영합니다.

  • 시설 지원

    임직원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운영합니다.

    • 사원주택(아파트/기숙사)
    • 체육시설
    • 기타 복지시설(구내식당, 의무실, 탈의실, 샤워실 등)
    시설지원
  • 생활 지원

    지속가능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고민합니다.

    • 급식
    • 우리사주조합
    • 차량 지원(통근, 귀향)
    • 퇴직자 기념품 지급
    • 옷과 안전보호구 지급
    • 명절선물 지급
    • 의료비 지원
    • 사내근로복지기금 운영
    • 경조금, 조사지원제도
    • 주택융자금지급
    • 학자금 지급
    • 개인연금 등 편의 제공
    • 국민연금/건강보험제도 운용
    생활 지원
  • 건강·문화생활 지원

    임직원의
    건강을 먼저 생각합니다.

    • 건강진단
    • 취미반 운영
    • 하기 휴양소 운영
    • 종합행사 (사생대회/체육대회 등)
    • 산업재해 보상
    • 일반재해 등 보조금 지급
    건강, 문화생활 지원